Skip to content

Commit 79714f9

Browse files
committed
Quartz sync: Jun 27, 2025, 3:14 PM
1 parent f2544f4 commit 79714f9

File tree

16 files changed

+154
-9
lines changed

16 files changed

+154
-9
lines changed
Lines changed: 15 additions & 0 deletions
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
@@ -0,0 +1,15 @@
1+
- 비선점형
2+
- 종류
3+
- FCFS (First come, First served)
4+
- SJF (Shorted Job First)
5+
- 우선순위
6+
- 선점형
7+
- 현대 운영체제가 쓰는 방식
8+
- 지금 사용하는 프로세스를 알고리즘에 의해 중단시키고, 강제로 다른 프로세스에 CPU 소유권을 할당하는 방식
9+
- 종류
10+
- 라운드로빈
11+
- SRF (Shortest Remaining Time First)
12+
- 다단계 큐
13+
- 높은 우선순위(시스템 프로세스) - FCFS
14+
- 중간 우선순위(상호 작용적인 프로세스) - SJF
15+
- 낮은 우선순위(배치 프로세스) - RR
Lines changed: 14 additions & 0 deletions
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
@@ -0,0 +1,14 @@
1+
- Process Control Block(PCB)
2+
- 프로세스 제어 블럭
3+
- 운영체제에서 프로세스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저장한 데이터
4+
- 프로세스가 생성되면 운영체제가 PCB를 생성
5+
- 커널 스택의 가장 앞부분에서 관리
6+
- 구조
7+
- 프로세스 스케줄링 상태
8+
- 프로세스 ID
9+
- 프로세스 권한
10+
- 프로세스 카운터
11+
- CPU 레지스터
12+
- CPU 스케줄링 정보
13+
- 계정 정보
14+
- I/O 상태 정보
Lines changed: 15 additions & 0 deletions
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
@@ -0,0 +1,15 @@
1+
- 메모리의 [[page fault]]율이 높은 것을 의미
2+
- 심각한 성능 저하를 초래
3+
- 메모리에 너무 많은 프로세스가 동시에 올라가게 되면 스와핑이 많이 일어나서 발생
4+
- [[page fault]]가 일어나면 CPU 이용률이 낮아짐
5+
- 운영체제는 CPU가 한가하다고 판단해, 가용성을 높이기 위해 . 더 많은 프로세스를 메모리에 적재
6+
- 악순환 반복
7+
- 해결 방법
8+
- working set
9+
- 프로세스의 과거 사용 이력인 지역성을 통해 결정된 페이지 집합을 만들어서 미리 메모리에 로드하는 것
10+
- 미리 메모리에 로드하여 탐색 비용 감소, 스와핑 감소
11+
- Page Fault Frequency(PFF)
12+
- 페이지 폴트 빈도를 조절하는 방법
13+
- 상한선과 하한선을 만들어 조절
14+
- 상한선에 도달하면 프레임 늘리기
15+
- 하한선에 도달하면 프레임 줄이기
1.19 MB
Loading
Lines changed: 9 additions & 0 deletions
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
@@ -0,0 +1,9 @@
1+
- [[PCB]]를 교환하는 과정
2+
- 비용 발생
3+
- idle time
4+
- pcb를 교환하는 시간
5+
- A pcb 저장
6+
- B pcb 로드
7+
- 캐시 미스
8+
- 스레드에서의 컨텍스트 스위칭
9+
- 스레드는 스택을 제외한 모든 메모리(힙, 데이터, 코드) 를 공유하기에, 비용이 더적고 시간도 적게 걸린다
Lines changed: 1 addition & 0 deletions
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
@@ -0,0 +1 @@
1+
- 둘 이상의 프로세스, 스레드가 공유 자원에 접근할 때, 순서 등의 이유로 결과가 달라지는 코드 영역
Lines changed: 8 additions & 0 deletions
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
@@ -0,0 +1,8 @@
1+
---
2+
description:
3+
aliases:
4+
created: 2025-06-23
5+
modified: 2025-06-23
6+
---
7+
8+
- 물리(실제) 메모리를 사용하는 최소 크기 단위
Lines changed: 1 addition & 0 deletions
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
@@ -0,0 +1 @@
1+
- 프로세스의 주소 공간에는 존재하지만, 지금 이 컴퓨터의 RAM에는 없는 데이터에 접근했을 경우에 발생
Lines changed: 1 addition & 0 deletions
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
@@ -0,0 +1 @@
1+
- 가상 메모리를 사용하는 최소 크기 단위
Lines changed: 33 additions & 0 deletions
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
@@ -0,0 +1,33 @@
1+
- 연속할당
2+
- 홀 기법
3+
- 종류
4+
- 고정 분할 방식
5+
- 가변 분할 방식
6+
- 최초적합
7+
- 최적적합 최악적합
8+
- 문제점
9+
- 내부 단편화
10+
- 외부 단편화
11+
- 불연속 할당
12+
- 페이징 기법
13+
- 현대 운영체제
14+
- 종류
15+
- 페이징
16+
- 동일한 크기의 페이지 단위로 나누어 메모리의 서로 다른 위치에 프로세스 할당
17+
- 홀의 크기가 균일해지지만, 주소 변환 복잡해짐
18+
- 세그먼트
19+
- 페이지가 아닌, 의미 단위로 나누는 방식
20+
- 공유, 보안 측면에서 유리
21+
- 홀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문제
22+
- 페이지드 세그멘테이션
23+
- 공유, 보안을 세그먼트로
24+
- 물리적 메모리는 페이지로 나누는 것
25+
-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
26+
- 오프라인 알고리즘
27+
- 기준 알고리즘
28+
- 먼 미래에 참조될 페이지와 현재 할당하는 페이지를 바꾸는 알고리즘
29+
- 사고 실험적 알고리즘
30+
- FIFO
31+
- LRU (Least Recently Used)
32+
- NUR (Not Used Recently)
33+
- LFU (Least Frequently Used)

0 commit comments

Comments
 (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