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kip to content

Commit 493f1ae

Browse files
authored
docs: 오타 수정 (#10)
1 parent 91c658a commit 493f1ae

File tree

3 files changed

+4
-4
lines changed

3 files changed

+4
-4
lines changed

docs/architecture.md

Lines changed: 1 addition & 1 deletion
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
@@ -1,6 +1,6 @@
11
# 구조
22

3-
TanStack Query는 외부 라이브리에 의존하지 않는 코어 영역의 코드가 패키지로 분리되어 있습니다. [query-core](https://github.com/TanStack/query/tree/main/packages/query-core) 패키지로 관리되고 있으며 QueryCache, QueryClient와 같은 코드가 구현되어 있습니다.
3+
TanStack Query는 외부 라이브러리에 의존하지 않는 코어 영역의 코드가 패키지로 분리되어 있습니다. [query-core](https://github.com/TanStack/query/tree/main/packages/query-core) 패키지로 관리되고 있으며 QueryCache, QueryClient와 같은 코드가 구현되어 있습니다.
44

55
TanStack Query는 특정 라이브러리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패키지도 관리하고 있습니다. 기반은 query-core 패키지를 사용하며 라이브러리의 문법과 생명주기에 맞춰서 query-core 코드를 의존하고 있습니다.
66

docs/core.md

Lines changed: 2 additions & 2 deletions
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
@@ -113,7 +113,7 @@ Query는 서버 상태를 조회하고 관리하는 객체입니다. Query 객
113113
114114
### `staleTime`은 어떻게 동작하나요?
115115
116-
Query는 서버 상태가 마지막으로 변경된 시점을 `lastUpdated` 변수로 저장하고 있습니다. fetch 메소드가 실행되기 전 `Date.now() - lastUpdated` 값이 `staleTime` 보다 큰 경우에만 `fetch` 메소들르 실행시킵니다.
116+
Query는 서버 상태가 마지막으로 변경된 시점을 `lastUpdated` 변수로 저장하고 있습니다. fetch 메소드가 실행되기 전 `Date.now() - lastUpdated` 값이 `staleTime` 보다 큰 경우에만 `fetch` 메소드를 실행시킵니다.
117117
118118
| `Date.now() - lastUpdated` > `staleTime` | `fetch` 실행 여부 |
119119
| :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: | :---------------: |
@@ -187,7 +187,7 @@ class Query {
187187
this.clearGcTimeout();
188188

189189
const unsubscribe = () => {
190-
this.observers = this.observers.filter(() => {
190+
this.observers = this.observers.filter((d) => {
191191
return d !== observer;
192192
});
193193

docs/window-focus-refetching.md

Lines changed: 1 addition & 1 deletion
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
@@ -37,7 +37,7 @@ class QueryCache {
3737

3838
focus 상태 변경에 대한 감지는 document 객체의 [visibilitychange](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en-US/docs/Web/API/Document/visibilitychange_event) 이벤트를 기반으로 감지할 수 있습니다.
3939

40-
`visibilitychange` 이벤트가 발생할 때 `document.visibilityState !== hidden` 인 경우, 브라우저의 focus가 다시 활성화된 상태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. 브랑줘의 focus가 다시 활성화 된 경우, QueryCache의 `focus` 메소드를 호출하여 활성화 된 Query들에게 fetch를 발생시킬 수 있다.
40+
`visibilitychange` 이벤트가 발생할 때 `document.visibilityState !== hidden` 인 경우, 브라우저의 focus가 다시 활성화된 상태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. 브라우저의 focus가 다시 활성화된 경우, QueryCache의 `focus` 메소드를 호출하여 활성화 된 Query들에게 fetch를 발생시킬 수 있다.
4141

4242
```jsx
4343
export const QueryClientProvider = ({ children, client }) => {

0 commit comments

Comments
 (0)